지난주 YTN은 재계의 상속세 인하 요구가 일부 과장된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는 보도를 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상속세 인하 주장을 펴면서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사실상의 '가짜 뉴스'를 동원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재계를 대표하는 단체는 최소한의 사실 확인조차 하지 않았고, 일부 언론은 그걸 다시 받아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와이파일, 뉴스 바로 보기, 고한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[손경식 / 경영자총연합회 회장 : 많은 기업인이 우려하고 있는 과도한 상속세 문제도 조속히 개선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상속세를 내려야 한다. <br /> <br />반복되는 재계의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근거 가운데 하나는 '눈물의 경영권 매각' 사례. <br /> <br />가업을 물려받아 잘 키우고 싶은데, 상속세가 너무 많아서 어쩔 수 없이 지분을 팔고 경영권을 잃은 사례로 9개 기업을 제시합니다 <br /> <br />실제로 그럴까요? <br /> <br />밀폐용기 국내 점유율 1위 락앤락. <br /> <br />창업주 김준일 전 회장은 2017년 사모펀드에 지분을 팔았습니다. <br /> <br />'상속세 부담을 고려한 결정'이라는 경총의 설명이 맞는지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김 전 회장 측은 "세계적인 생활 문화 기업으로 키우기 위해 투자 여력 있는 새로운 대주주를 찾기 위해서였다"며 "상속세와는 전혀 관계없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상속세와 연관시키는 것에 대한 불쾌감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화장품 브랜드 '미샤'로 유명한 에이블씨엔씨. <br /> <br />경총은 상속세 부담으로 인해 서영필 전 회장이 회사를 팔았다고 했는데, 서 전 회장은 50대 중반으로 아직 상속을 생각할 나이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[에이블씨엔씨 관계자 : 연세가 아직 환갑이 안됐어요. (상속세 걱정돼 회사를 사모펀드에 매각했다는 건) 말도 안 되고요. 자제들에게 회사를 상속할 생각이 전혀 없다는 말을 항상 했습니다. (경총이) 어떻게 그런 추측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.] <br /> <br />다른 사례도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손톱 깎기로 유명한 쓰리쎄븐. <br /> <br />상속세 마련을 위해 펀드에 매각한 것은 맞지만, 창업주 일가는 경영권을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1년 뒤에는 팔았던 지분을 모두 사들여 다시 대주주가 됐죠. <br /> <br />가구 업체 까사미아는 이케아의 국내 진출 등에 따른 경영 악화로 대기업에 인수된 것이지, 상속세와는 무관합니다. <br /> <br />요진건설산업. <br /> <br />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이 사망한 뒤 유족 지분이 국내 펀드에 넘어간 건 맞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경영권은 줄곧 또 다른 창업자가 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12222121330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